데이터 테더링2 데이터 쉐어링과 데이터 테더링 ★ 무엇이 다를까?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요금제를 살펴보면 종종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데이터 쉐어링'과 '데이터 테더링'입니다. 이 두 가지는 서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데이터 쉐어링: 전용 유심이 필요해데이터 테더링: 스마트폰이 공유기 역할 LG유플러스에 따르면, 데이터 쉐어링과 데이터 테더링은 모두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그러나 그 방식은 다릅니다. 데이터 쉐어링: 전용 유심이 필요해 데이터 쉐어링(Data Sharing)은 LTE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이용하려면 특정 단말기에 전용 USIM을 장착하고 개통해야 합니다. 즉, 데이터 쉐어링을 지원하는 기기가 필요하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 LTE 버.. 2024. 10. 10. 데이터 테더링, 모바일 핫스팟 차이 ★ 바로 이거였구나 모바일 핫스팟과 데이터 테더링은 하나의 스마트폰을 통해 여러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멋진 기능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해 보이지만, 데이터 테더링, 모바일 핫스팟 차이, 특징,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 테더링모바일 핫스팟 1. 데이터 테더링 ‘Tether’라는 단어는 ‘밧줄’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데이터 테더링은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해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USB 케이블이나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인터넷이 없는 기기를 연결하게 되죠. 중요한 점은, 통신사 USIM 카드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이는 공유(Sharing)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테더링은 1:1 연결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특정 스마트폰, 예.. 2024. 10. 10. 이전 1 다음